티스토리 뷰
실업급여는 근로자가 실직했을 때 일정 기간 동안 생활 안정을 돕고 재취업을 지원하기 위해 지급되는 고용보험 제도 일환입니다. 퇴사 후 경제적 어려움을 덜어줄 수 있는 실업급여 신청 5단계인 실업급여 조건, 신청방법, 금액 계산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
실업급여란?
실업급여는 크게 구직급여, 취업촉진수당 두 가지로 나뉩니다.
구직급여 : 기본적인 생계비 지원
취업촉직수당 : 조기 재취업, 직업훈련 참여 등을 독려하기 위한 추가 지원
1. 실업급여 신청 조건



1. 고용보험 가입자
- 실업급여는 고용보험에 가입된 근로자만 받을 수 있습니다.
- 고용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프리랜서, 자영업자는 원칙적을 대상이 아닙니다.
2. 비자발적 이직
- 실업급여는 본인이 의사와 무관하게 실직한 경우 (비자발적 이직) 지급됩니다.
- 다음과 같은 경우에 해당하면 비자발적 이직으로 인정됩니다.
* 권사직, 계약만료, 구조조정 등
* 근로조건 변경 (급여 삭감, 근로시간 증가 등으로 근로 환경이 악화된 경우)
* 직장 내 괴롭힘, 성희롱 등으로 인해 퇴사를 선택한 경우
* 임금 체불로 인해 퇴사한 경우
3. 고용보험 가입 기간 충족
- 이직일 이전 18개월 동안 최소 180일 이상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어야 합니다.
- 180일은 실제 근로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.
4. 실업 상태 유지
- 실업급여는 현재 실업 상태임을 증명해야 받을 수 있습니다.
- 퇴사 후 즉시 다른 직장에 취업한 경우, 실업급여를 받을 수 없습니다.
5. 적극적인 구직 활동 의지
- 실업 상태에서 적극적으로 재취업을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.
- 구직 활동으로 인정되는 예시
* 워크넷(www.work.go.kr) 구직 등록 및 신청
* 고용센터 제공 교육이나 취업 프로그램 참여
* 구직 면접 및 입사지원
2. 실업급여 수급액 계산법



(실업급여의 하루 수급액은 퇴직 전 1일 평균임금의 60% 입니다.)
(단, 법적으로 정해진 최저보장액과 최고상한액이 적용됩니다.)
(2025년 기준)
- 최저보장액 : 1일 최저임금의 80% (약 63,104)
- 최고상한액 : 1일 66,000
예시) 최근 3개월 평균 월급이 300만 원이라면
- 평균임금 + 월금 ÷ 해당 월의 달력상 일수 ( 300만 원 ÷ 30일 + 100,000원)
- 1일 지급액 = 100,000 × 60% = 600,000
(계산공식)
-1일 수급액 = 퇴직 전 평균임금 x 60%
3. 수급기간 계산



실업급여 지급일수는 나이와 고용보험 가입 기간에 따라 다릅니다.
고용보험 가입기간 | 50세 미만 | 50세 이상 및 장애인 |
1년 미만 | 120일 | 120일 |
1~3년 | 150일 | 180일 |
3~5년 | 180일 | 210일 |
5~10년 | 210일 | 240일 |
10년 이상 | 240일 | 270일 |
(예시 계산)
예시 1) 평균임금이 100,000원 인 경우
- 1일 수급액 : 100,000 ×60% = 600,000
- 지급일수 : 150일 (고용보험 가입 3년, 50세 미만)
- 총 수급액 : 60,000 × 150일 = 9,000,000원
예시 2) 평균임금이 120,000원 인 경우
- 1일 수급액 : 120,000 × 60% = 72,000
- 상한액 적용 : 1일 최대 66,000
- 지급일 수 : 180일 (고용보험 가입 5년, 50세 미만)
- 총 수급액 : 66,000 × 180일 = 11,8880,000원
4. 실업급여 신청 가능 기간



- 퇴직일 다음 날부터 12개월 이내에 신청해야 합니다.
- 이 기간을 수급기간이라고 하며 12개월이 지나면 실업급여를 받을 권리가 소멸됩니다.
- 단, 실업급여 지급일수 (최대 270일) 가 남아 있어도 12개월이 지나면 더 이상 받을 수 없습니다.
5. 실업급여 신청 절차



1. 구직 등록
* 워크넷 (www.work.go.kr) 에서 구직 신청을 먼저 해야 합니다.
* 구직 신청 후 고용센터에서 구직 등록 확인서를 발급 받습니다.
2. 고용센터 방문
* 구직 등록 후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를 방문하여 실업급여를 신청합니다.
* 방문 시 필요한 서류 : 이직확인서 (사업주가 고용보험에 제출), 신분증, 본인 명의 통장 사본
3. 수급자격 인정 교육
* 실업급여를 받으려면 수급자격 인정 교육을 이수해야 합니다.
* 교육은 고용센터에서 제공하며 대면 또는 온라인으로 진행
4. 구직 활동 보고
* 실업급여를 받는 동안 4주마다 1회 이상 구직 활동을 보고해야 합니다.
* 구직 활동은 워크넷을 통한 입사지원, 면접, 직업훈련 등이 포함됩니다.
6. 신청 기간 연장 사유



- 출산, 질병, 부상 등으로 구직 활동이 불가능한 경우
* 진단서 등 증빙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.
- 군 복무, 형 집행 등으로 구직 활동이 제한되는 경우
* 해당 기간만큼 수급기간이 연장됩니다.
7. 신청 시 주의사항



1. 이직확인서 제출 여부 확인
* 사업주가 고용보험에 이직확인서를 제출하지 않으면 신청이 불가능합니다.
* 제출 여부는 고용보험 홈페이지 또는 고용센터에 문의하세요.
2. 신청 지연 시 불이익
* 실직 후 바로 신청하지 않으면 지급 시작이 지연됩니다.
* 신청이 늦어질수록 지급받는 금액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.
3. 퇴직 후 바로 신청할 필요는 없음
* 퇴직 후 실업 상태임을 증명하고 구직 활동이 가능한 시점에 신청하면 됩니다.
[함께 보면 좋은 글]
2025 설 연휴 고속도로 통행료 0원? 무료 하이패스 이용은?
2025년 설 연휴 기간동안 전국의 재정 및 민자 고속도로 통행료가 면제됩니다. 면제 기간은 1월 27일(월)부터 1월 30일(목)까지이며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됨에 따라 총 나흘간 통행료가 면제
unu100.com
2025년 설 연휴 숙박 쿠폰 혜택 3가지 총정리 신청방법과 꿀팁
2025년 설 연휴가 다가오면서 여행 계획을 세우는 분들에게 큰 혜택이 될 숙박 쿠폰이 제공됩니다. 설 연휴 기간 동안 더 저렴하게 숙박할 수 있는 기회이니 이번 글에서는 숙박 쿠폰의 혜택, 신
unu100.com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근로자햇살론 신청방법 지원대상 등 총정리 (0) | 2025.01.23 |
---|---|
갤럭시 S25시리즈 사전예약 출시 일정부터 혜택까지 총정리 (0) | 2025.01.20 |
2025년 설 연휴 숙박 쿠폰 혜택 3가지 총정리 신청방법과 꿀팁 (0) | 2025.01.16 |
자동차세 연납 혜택 100%활용법 : 할인율 신청 방법 꿀팁 총정리 (0) | 2025.01.16 |
2025년 근로장려금 신청조건 지급일 신청방법 (0) | 2025.01.11 |